2023. 10. 3. 14:51ㆍ건강정보
귀 막힘, 귀 먹먹함이 발생 시 해결 방법
1. 발살바법
발살바법은 귀를 열기 위한 한 가지 기술적인 방법입니다.
이 방법은 귀 내의 이관(유스타키오관) 내의 압력을 조절하여 귀 먹먹함을 완화하는 데 사용됩니다.
순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귀가 뚫릴 때까지 반복하도록 하며, 이때 주의할 점은 힘을 주지 말고 아주 살살 부드럽게 내쉬어야 합니다.
- 깊게 숨을 들이마신다.
- 코를 잡고(막고) 입을 다문다.
- 입을 다문 상태에서 코로 아주 살살 내쉰다.(귀로 압력이 가해짐)
2. 입을 약간 벌리고 하품하기
입을 약간 벌리고 하품하는 방법은 귀먹먹한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가장 간단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.
하품 동작을 통해 귀 안쪽의 압력을 조절하여 증상이 완화되도록 하는 것입니다.
편안한 자세로 입을 "O" 모양으로 약간 벌리고 "아" 소리를 내면서 크게 벌립니다.
이 동작은 하품을 유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
하품이 나오지 않는다면 이 동작을 반복해서 시도하면 하품이 나오게 됩니다.
3. 껌 씹기
껌을 씹을 때 입을 크게 벌리지 않고 천천히 씹습니다.
껌을 씹는 동안 목구멍과 귓속의 압력이 변화하고 균형이 맞춰질 수 있습니다.
껌이 없을 경우는 씹는 동작을 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.
너무 세게 씹지 않도록 하고, 적당한 힘과 리듬감으로 씹어주면 됩니다.
4. 사탕 먹기
먹구멍과 귓속 사이의 압력을 조절하고 균형을 찾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.
목구멍과 귓속 사이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함이므로, 적당한 압력으로 사탕을 빨아가면 목구멍과 귓속 사이의 압력 균형을 맞추도록 노력합니다.
씹어먹지고 않고 압력을 가하는 효과를 위해 쪽쪽 빨아먹도록 합니다.
5. 물 마시기
물을 꿀꺽꿀꺽 삼켜서 귓속 압력의 균형을 회복하도록 합니다.
앞서 1~4번까지의 설명과 병행하여 시도하면 도움이 됩니다.
6. 부비부강 씻어내기
부비부강을 씻어내는 것은 귀먹먹함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.
부비부강은 코와 기를 연결하는 공간으로, 분비물 또는 압력 변화로 인해 막힐 수 있습니다.
약국에서 부비강 세척기구(네티팟 등)를 구입하여 지침대로 세척을 하면 도움이 됩니다.
7. 따뜻한 물로 목욕하기
따뜻한 물로 목욕을 하면 따뜻한 물의 김이 먹먹한 상태의 귀를 진정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.
이대 턱을 내밀고 머리를 젖힌 상태에서 침을 삼켜 귀가 뚫리도록 시도를 해 봅니다.
욕조에 물을 받아 귀가 물에 잠기게 몸을 담그는 행동도 귀 막힘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.
다만, 중이염이나 외이도염이 있다면 귀를 물에 담그는 행위는 자제해야 합니다.
주의사항
귀가 먹먹하다는 증상을 가볍게 생각해 자칫 치료를 미뤘다가는 난청이나 청각 이상과 같은 부작용을 겪을 수 있습니다.
비행기나 고산지에서처럼 어쩌다 한 두 번 발생하는 것이 아니고, 먹먹한 상태가 오래 지속되고 자주 발생한다면 돌발성 난청과 같은 청력 문제와 연관이 있을 수 있으며 중이염과 같은 질환과도 연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비인후과에서 반드시 진료를 받아 보셔야 합니다.
특히, 귀가 먹먹해지면서 소리가 들리지 않는 돌발성 난청의 경우 응급질환으로 분류가 되며, 증상 발생 후 치료시기가 1주일 내로 스테로이드 등의 치료를 받을 경우 정상으로 회복 확률이 높습니다.
'건강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노로바이러스 증상과 전염, 잠복기와 치료 (1) | 2023.11.01 |
---|---|
술 빨리 깨는 법, 숙취해소법 (1) | 2023.10.03 |
설사멈추는법 - 설사 원인과 증상 완화하는 방법 (1) | 2023.10.03 |
콧물멈추는법 - 알레르기, 비염 코막힘 해결 (0) | 2023.10.02 |
이석증 증상과 원인 - 이석증치료법, 뇌질환과도 관련이 있어 주의 필요. (1) | 2023.10.01 |